본문 바로가기

해외생활6

이직 제안을 수락하기전 체크리스트 구직 하기위해 낸 이력서 숫자를 세본적이 있는가? 우선 나는.. 없다, 없긴 한데, 그것은 한번에 몰아서 세본적이 없기 때문이고 많이 신청하던 때는 하루에 적어도 3-10개씩 신청했고 구직시작부터 인터뷰 들어가기까지 대충 한달반 정도 걸린다고 치면 적으면 135개많으면 450개의 이력서를 줄창 넣은 셈이다. 당연하지만 인터뷰가 이력서 넣은 만큼 다 들어오지 않고, 그 거르고 걸려 들어온 인터뷰에서도 반드시 망했다고 생각하는 횟수가 많으며 정말 최종 오퍼로 이어지는 수는 계속 줄어들기만 한다. 커리어 초반 구직이나 업계/직종을 바꾸는 이직은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기 때문에 이것저것 많이 재고 가릴 형편이 아니다. 이력서 작성, 신청, 인터뷰 준비등으로 시간과 노력을 소진하면 오는 오퍼를 그냥 감사.. 2022. 2. 19.
2년동안 자격증 12개 따기 무엇을, 어떻게, 왜? 무엇을 2018년부터 2020년까지 2년동안 나는 총 11개의 세일즈포스 (+파생상품) 관련 자격증과 1 개의 SAFe® 5 스크럼 마스터 자격증을 취득했다. 세일즈포스는 무엇이고 SAFE 스크럼 마스터는 또 무엇인가? 세일즈포스닷컴 (Salesforce)은 클라우드 베이스의 CRM/고객 관리 시스템, 영업 지원 시스템, 마케팅 자동화를 세계 15만 이상의 회사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Salesforce는 세계 최고의 고객 관계 관리(CRM) 플랫폼입니다. 판매, 서비스, 마케팅을 비롯한 다양한 부문을 위한 Salesforce의 클라우드 기반 CRM 애플리케이션은 IT 전문가가 설치하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https://www.salesforce.com/kr/products/.. 2022. 2. 11.
대기업 vs 스타트업 스타트업 첫날: 이거 혼자서 오늘까지 다 끝낼수 있는거 맞죠? 대기업 첫날: 비밀번호라는게 있는데요 '해커'라는 나쁜 사람들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하기 위한거예요. 진짜로? 대기업과 스타트업 모두 일해본 경험에 의하면 위의 대기업 첫날은 좀 과장되었을수도 있지만 스타트업 첫날은 정말 저랬다! 물론 성급한 일반화는 위험하고 모든 대기업 혹은 스타트업이 똑같을순 없지만 대기업문화 vs 스타트업문화의 차이점이 있는것이 사실이다. 내 개인적인 대기업 직무 경험은 대체로... 지루했다. 네 그러니까 저는 일이 지루해져서 이직을 하는 사람이니까요. 스타트업에 비해서 대기업은 전반적으로 온보딩 프로그램이 안정되어있고 같은 롤을 여러명 뽑기 때문에 해야할 일의 책임이 표준화 되어있으며 차근차근 일을 알려주고 대체로 다른 .. 2022. 2. 9.
(Weekly Update을) 이렇게 써줬으면 좋겠어 매주 매니저와 1:1 미팅을 할 때 나는 딱 하나의 온라인 문서를 준비해가곤 했다. 그 온라인 문서는 대략 이렇게 생겼다: Weekly 1:1 with a Manager (FYI) X 월 X일 프로젝트 데모 확정 다음 단계: Y월 Y일 커뮤니케이션 이후 Z월 Z일 런칭 (ACTION) XX팀이 ABC문제 해결 거부. 서포트가 필요함. XX팀 BMW 챗방에 cc하겠음. (FYI) 팀원 QQ와 커리어 대화가 이러저러 했었으니 참고하시오. 등등등 어떤 부분은 참조사항이거나 혹은 매니저가 앞으로 해야할 각종 미팅에 어떻게 사용할수 있는지 조각내서 공유하고 매니저의 행동/액션/지원이 필요한 경우 강조해서 어떤 행동을 어떻게 해주길 바라는지, 혹은 매니저가 결정을 내려야 하는 사항에 있어서는 조각조각조각내서 예/아.. 2022. 2. 8.
왜 이직을 하는가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나는 왜 이직을 하는가. 지난 15년간 일을 하며 나는 7개의 다른 회사를 다니고 8번 이직 했다. 한 회사당 평균 2년정도 근무했다고 할수있다. 한 회사 취업당 오퍼까지 가는데 인터뷰를 대략 세번 거친다면 총 24번의 인터뷰를 성공적으로 거친 셈이다. 업계는 IT이지만 직종은 세일즈,마케팅,오퍼레이션,컨설턴트, CRM 매니저 사이에서 움직였다. 대부분은 호주에서, 아주 짧게 영국에서 살면서 일했다. 2019년 Indeed (취업시장 앱)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48퍼센트의 호주인들이 한 직장에서 2년 이하로 머문다고 한다. 요컨데 나의 이직 히스토리는 주류에 속한다는 소리다. 그래서 나는 왜 이직을 했는가. 나라를 옮기고 싶어서, 주를 옮기고 싶어서, 연봉을 올려주지 않아서.. 2022. 2. 7.
매일 매일 이직한 이야기 일 이야기 먹고 공부하고 살기위해 운동하는 이야기를 적기로 한다. 매일 이직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2022. 2. 6.